경제적 자유

부자의 기술 한국에서 부자되기 50대, 시간을 써라

라고할때살걸 2025. 2. 26. 00:07
반응형

혹시나 전 포스팅을 못 보신 분들은 아래 링클르 참고하세요 :)

 

https://economical-free.tistory.com/entry/%EB%B6%80%EC%9E%90%EC%9D%98-%EA%B8%B0%EC%88%A0-%ED%95%9C%EA%B5%AD%EC%97%90%EC%84%9C-%EB%B6%80%EC%9E%90%EB%90%98%EA%B8%B0-40%EB%8C%80-%EB%A8%B8%EB%A6%AC%EB%A5%BC-%EC%8D%A8%EB%9D%BC

 

부자의 기술 한국에서 부자되기 40대, 머리를 써라

혹시나 전 포스팅을 못 보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 https://economical-free.tistory.com/entry/%EB%B6%80%EC%9E%90%EC%9D%98-%EA%B8%B0%EC%88%A0-%ED%95%9C%EA%B5%AD%EC%97%90%EC%84%9C-%EB%B6%80%EC%9E%90%EB%90%98%EA%B8%B0-30%EB%8C

economical-free.tistory.com

 

 

50대의 소득, 여유가 보인다

 

50대가 되면 소득은 유지되면서 비용은 줄어든다.

교육비가 감소하고 여가비는 늘어 삶의 질이 높아진다.

40대 소득상위 10%와 1% 가구는 일년에 교육비로 1,700만원, 2,400만원을 썼지만

50대 가구는 1,200만원, 1,900만원을 써서 500만원이나 적었다.

 

나아진 살림살이는 부채에서 더 잘 드러난다.

50대 소득상위 1%의 부채는 4억 1,800만원으로 40대의 4억 200만원보다 많다.

하지만 전체 부채에서 담보대출 비중이 29%로 40대의 39%보다 10%p 낮다.

임대보증금은 51%를 차지해 40대 49%보다 살짝 높다.

임대보증금은 부채로 분류되지만 임대소득이 있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어서 성격은 자산에 가깝다.

 

 

50대의 자산, 시간을 내편으로 만들어라

 

50대 소득상위 1%의 자산은 40대보다 더 잘 분산돼 있다.

자산 32억원 중 금융자산은 7억원이었고 그 안에서도 주식과 펀드 같은 투자자산이 2억원이었다.

40대는 자산 27억원에서 금융자산 7억원, 투자자산 1억원으로 부동산과 예금 비중이 아직은 높았다.

50대부터 여유자금을 투자자산으로 바꾼다고 볼 수 있다.

 

금융자산과 비주거부동산은 자산소득의 원천이다.

이들이 금융부채보다 많고 경상소득이 흑자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산이 늘기 때문에 시간이 내 편이라고 할 수 있다.

반대로 금융부채가 더 많으면 자연히 부채가 증가해 시간이 쫒기게 된다.

 

50대엔 시간을 내 편으로 만들어야 한다.

50대 가구 중 75.7%가 이 작업을 완수했는데, 자산규모는 편차가 컸다.

3,892개 가구 가운데 금융자산과 비주거부동산에서 금융부채를 차감한 금액이 10억원을 넘는 가구는 191개에 불과했다.

 

 

50대의 투자, 분산하고 변동성도 제어

 

50대는 손실을 보면 복구할 시간이 상대적으로 적다.

투자를 방어적으로, 포트폴리오는 분산해야 하는 이유다.

변동성까지 제어하면 더 좋다.

커버드 콜(Covered Call) 같은 상품의 편입도 고려해 볼 만 하다.

TDF보단 TIF가 적합하다.

 

시간에 쫒기면 확실한 수익률보다 높은 수익률에 끌리게 된다.

수익률이 높아보이는 투자자산을 따라다니고 마켓 타이밍을 맞히려고 하는데,

실패할 확률도 높을 뿐 아니라 불필요한 비용도 발생해 수익률이 훼손된다.

 

금융투자업계에서 요직을 두루 거친 '츤데레'는

"자산이 충분치 않다면 무리하게 투자하는 것보다 근로를 연장하거나 검소하게 사는 쪽이 더 낫다.

평생 해온 일을 계속해야 한다는 생각만 버리면 어려운 일도 아니다"고 조언했다.

 

 

그림37~그림42
그림43~그림44

 

출처: 부자의 기술 한화 박승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