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 자유

시간관리만 잘해도 연수입이 올라간다 (by 셀프메이드)

라고할때살걸 2022. 7. 28. 00:02
반응형
인생은 공평하지 않다. 이 사실에 익숙해져라.  - 빌 게이츠

맞아요. 인생은 공평하지 않습니다. 모두가 같은 출발선에서 시작하면 좋겠죠.

어떤 사람들은 너무나 힘들게 시작하지만 또 다른 사람들은 너무나 유복하게 시작합니다.

 

하지만 모두에게 똑같이 주어지는 게 하나 있는데요, 바로 시간입니다.

아무리 부자로 태어나도 하루 24시간에서 1초도 돈으로 살 수 없는 게 시간인데요,

자수성가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팩터는 시간이죠.

 

자수성가 한 사람들은 모두 시간의 중요성을 알고 있습니다.

그들은 시간을 어떻게 대할까요? 성공한 이들이 시간을 대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80%의 성과는 20%의 행동에서 나온다.

 

 

2013년 영국을 시끌벅적하게 만든 사건이 발생했는데요,

밥이라는 프로그래머에 대한 이야기였습니다.

 

밥은 최고의 코딩상을 받을 정도로 유능한 인재였습니다. 그의 연봉은 20만 달러에 달했습니다.

하지만 밥은 거의 하루 종일 놀기만 했는데 이렇게 인정을 받았습니다.

 

나중에 밝혀진 사실에 따르면, 밥은 유능한 중국인 프로그래머를 고용해

그에게 5만 달러를 주고 자신의 일을 외주로 준 것입니다.

 

그는 이 사실이 밝혀진 후로 바로 해고되었죠. 많은 사람들은 밥을 비난했습니다. 

하지만 밥은 유능한 사람을 찾아서 그 인력을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이끄는 능력이 있었습니다.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이 아닌 거죠.

 

그는 자신이 잘하는 방법으로 디렉팅을 해서 최고의 결과를 이끌어냈습니다.

20%의 행동에서 80% 이상의 성과를 낸 것인데요,

한정된 시간을 두배, 세배로 쓸 수 있는 비밀은 이것입니다.

 

여러분도 자신이 잘하는 일에 집중하고 나머지 일은 다른 사람이나 도구에 맡겨보세요.

 

 

2. 오늘 거절하는 일이 내일 더 많은 시간을 만들어준다.

 

 

우리는 누군가가 무엇을 부탁하거나 시간을 내어 달라고 하면

그 사람이 상처를 받거나 내가 나쁜 사람으로 보일까 봐 모든 요청을 다 받아주는 경우가 생깁니다.

 

하지만 이런 일들은 쌓이고 쌓여 정작 자신의 중요한 일을 할 시간조차 없게 만드는데요,

 

워렌버핏은 한 연설에서 자신의 성공 비법 중에 하나는

'모든 것에 대해 NO라고 말했을 뿐입니다.'라고 이야기했습니다.

또, 스티브 잡스집중은 거절에서 시작된다는 말을 했었습니다.

 

어떤 일을 수락하려고 하면 이 말을 생각해보세요.

모든 수락은 미래의 다른 일에 대한 거절이라는 것을요.

 

 

3. 해야 할 일의 목록은 끝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받아들여라.

 

 

페이스북 최고 운영 책임자인 셰를 샌드버그는 매일 5시 30분에 퇴근해서 6시에 아이들과 식사를 합니다.

인텔의 회장이었던 앤디 그로브는 매일 8시에 출근해서 6시에 퇴근했습니다.

전 미국 대통령 조지 부시는 재임 기간 동안 1년에 100권에 가까운 책을 읽었습니다.

 

이 사람들이 과연 우리보다 할 일이 없어서 3일에 1권의 책을 읽고, 6시에 퇴근을 할 수 있었을까요?

이들은 누구보다 많은 업무가 쌓여있고, 회의를 하고, 심지어 책까지 썼던 인물들입니다.

 

하지만 이들은 자신들이 해야 할 일의 목록은 무한히 생성되며 끝이 없음을 알고 있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철저하게 자신이 할 수 있는 양의 일을 쪼개고 모든 일을 한 번에 끝내려고 하지 않았습니다.

 

앤디 그루브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나는 일을 끝낼 때가 아니라 피곤할 때 퇴근한다.'

 

해야 할 일은 언제나 더 있고, 할 수 있는 일보다 많다,

모든 일을 할 수 없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고 장기적으로 실행하세요.

 

 

같은 대상을 봐도 그 대상을 대하는 태도에 따라서 전혀 다른 결과가 나올 때가 많은데요,

시간도 중요한 대상 중 하나입니다.

 

자신이 잘할 수 있는 일에 집중하고 다른 것들은 더 잘할 수 있는 사람에게 맡기세요.

정말 자신이 할 수 있고 필요한 요청만 받아들이고, 모든 일을 하루 만에 끝내려고 하지 말고

계획을 가지고 차근차근 해 나가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