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 자유

자신을 분석하고 창업 아이템을 찾는 방법 (by 포리얼)

라고할때살걸 2022. 8. 7. 22:51
반응형

이 글은 아래 포스팅과 이어집니다. 혹시 못 보신 분들은 아래 글을 먼저 읽어주세요 :)

 

 

돈을 만드는 유혹 4단계 이론 (by 포리얼)

이 글은 아래 포스팅과 이어집니다. 혹시 못 보신 분들은 아래 글을 먼저 읽어주세요 :) 온라인으로 돈을 벌려면 이것을 만드세요 (by 포리얼) 이 글은 아래 포스팅과 이어집니다. 혹시 못 보신 분

economical-free.tistory.com

 

 

여러분들이 가장 궁금해하고 가장 간지러운 부분일 주제 찾기,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들이 많이 해본 겁니다. 마인드맵을 그릴 건데,

마인드 맵에서 나와 관련된 키워드들을 자유롭게 생각나는 대로 종이를 펼쳐서 30개 이상을 적을 겁니다.

 

 

한 주제만 계속 채우고 또 다음 주제로 넘어가고 이런 게 아니라 그냥 떠오르는 대로 막 적는 거예요.

여러분들도 최대 30개 이상, 여러분들이 관심 있는 키워드를 뽑아보는 거죠,

이때 나는 아무리 생각해도 30개 이상의 키워드가 안 뽑힌다라고 한다면

여러분들의 삶에서 조금 경험이 더 필요한 상태입니다.

 

책을 보는 간접경험을 하든, 밖으로 세상에 나가서 사람들도 만나고

커뮤니티, 소모임이라도 한번 들어가 보면서 교류도 하는 등 삶의 경험치를 조금 늘리는 겁니다.

 

그런 활동들을 하면서 여러분들의 경험치를 더 늘린다면

여러분들의 키워드가 분명히 30개 이상은 나옵니다.

 

내가 대학생이다 그러면 대학생도 키워드고, 취준생이면 취준생도 키워드죠.

나는 무자본 창업을 준비하고 있는 창업 준비생이라고 하면 창업 준비생도 키워드가 되겠죠.

이런 식으로 여러분들이 그냥 관련 있는 키워드들을 쭉 뽑는 겁니다.

 

 

이렇게 뽑았으면, 이걸 가지고 전문성, 약점, 내가 주말에 뭘 하는지(취미), 

가장 최근에 내 삶에 일어난 변화가 뭔지(최근에 내가 관심을 두고 있는 것)

이 4가지로 마인드맵을 분류해보는 거예요. 그러면 겹치는 주제들이 있겠죠.

 

이제는 우리가 뽑았던 키워드들을 분류를 할 겁니다.

첫 번째는 내가 좋아하는 것, 두 번째는 내가 잘하는 것.

이걸 하기 전에 먼저 해야 하는 게 있는데요, 바로 하기 싫은 것입니다.

To do list를 작성하기 전에 NOT To do list를 작성하면 좋습니다.

 

우리 인생의 목표를 잡을 때도 똑같습니다.

내가 하고 싶은 일이 뭔가를 찾는 것보다 

내가 평생에 걸쳐서 하기 싫은 일은 무엇인지를 먼저 적어보는 겁니다.

 

나는 남들에게 굽신굽신 영업하는 건 하기 싫어라고 한다면 그걸 적는 거예요.

남들에게 잘 보이기 위해서 허례허식을 하는 걸 별로 좋아하지 않아라던지,

내가 평생을 걸쳐서 계속할 수 없는 일을 먼저 쭉 적으세요.

 

이것도 마찬가지입니다. 종이와 펜을 펼쳐놓고 펜이 가는 대로 생각하지 말고 막 적는 거예요.

그러고 나서 아까 적었던 좋아하는 것과 잘하는 것으로 구분합니다.

 

우리가 인생에서 잘하는 것과 좋아하는 것은 다릅니다.

힙합을 굉장히 좋아하지만 본인이 랩을 잘하지는 않는다면

힙합가수를 하지는 않는 것과 같은 개념이에요.

 

 

그래서 여러분들이 잘하는 것, 그리고 좋아하는 것을 분류해보는 거죠.

이걸 여러 개를 써서 결합을 해보고, 하기 싫은 것을 묶어서 생각을 해보다 보면

여러분들만의 주제들을 몇 가지를 뽑을 수가 있습니다.

 

이제 이걸 가지고 반드시 사업을 할 건 아니고, 주제 후보를 뽑을 겁니다.

그리고 이 주제 후보를 뽑은 걸 가지고 검토를 할 겁니다.

이게 진짜 돈이 될까? 이거 가지고 어떻게 사업을 키우면 될까? 이런 것들 가지고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