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 자유

카카오톡 이모티콘 만들기 억대연봉? 직접 해보자 (by 포리얼)

라고할때살걸 2022. 7. 3. 00:02
반응형

이모티콘을 가지고 돈을 벌 수 있는 플랫폼을 간략히 살펴보면,

카카오톡이 있을 거고요, 라인과 페이스북 메신저, 블로그 등 다양하게 있지만

블로그는 이모티콘을 많이 사는 것 같진 않더라고요. 

 

 

이 중에서 카카오톡상대적으로 심사가 오래 걸리고 경쟁이 치열해서 승인을 받기가 까다롭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우리나라 국민이 가장 많이 쓰는 플랫폼은 누가 뭐래도 카카오톡이죠.

그렇기 때문에 수익성은 좋다고 하네요.

 

 

라인은 해외에서 많이 사용하는데, 그렇기 때문에 라인의 이모티콘을 판매하려면

아무래도 외국인들이 이해할 수 있는 이모티콘을 만드는 게 유리할 것 같습니다.

그러면 각 나라 언어로 이모티콘을 만들거나 아니면 글자가 없더라도

표정만으로 감정을 이해할 수 있는 이모티콘을 만들어야 할 텐데, 그림을 못 그리면 어렵겠죠.

 

그래서 가장 대세인 카카오톡에 이모티콘을 만들어서 파는 걸 목표로 해보겠습니다.

이렇게 목표 플랫폼이 생겼으니 어떤 이모티콘을 만들건지 기획을 해야 되겠죠.

 

저는 우선 제가 최선을 다해서 그려도 남들이 봤을 떄 이건 그냥 발로 그린 거냐 할 수준의 작품이 나올걸 알고 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대충 그린 병맛 콘셉트로 갈 것입니다.

또, 이모티콘은 움직이는 이모티콘과 멈춰있는 이모티콘이 있는데 멈춰있는 이모티콘으로 가보겠습니다.

 

 

그리고 조금 더 상세한 기획을 하기 위해서 세 가지 차원의 생각을 했는데

첫 번째, 내 이모티콘을 사용할 타깃을 정해 보는 생각을 했습니다.

이 이모티콘을 사용하게 될 관계에 대해서 생각을 해보았죠.

커플들 간에 주고받는 이모티콘, 20대 대학생들이 단체방에서 주고받을 수 있는 이모티콘,

취준생들이 주고받게될 이모티콘 이런 질문에 대해서요.

 

그리고 두번째, 이모티콘을 사용하는 상황에 대해서 생각을 했습니다.

어떤 상황에서 사용하는 이모티콘을 만들면 좋을까,

썸남 썸녀의 마음을 떠보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이모티콘을 만들 것인가,

시험기간에 시험공부를 하면서 자신의 신세를 한탄할 때 쓸 수 있는 이모티콘을 만들 것인가,

직장에서 일을 하고 있을 때 퇴근이 절실하게 마려울 때 사용할 수 있는 이모티콘을 만들 것인가

이런 상황에 대한 것들을 말이죠.

 

그러다 문득 세 번째로 이런 생각을 했습니다.

이모티콘 안에 있는 그림은 거의 그대로 두고 글자만 바꾸면서 여러 가지를 표현할 수 있는 이모티콘이 없을까?

왜냐하면 그림을 못 그리기 때문이죠. 그리고 또 귀찮으니까요.

 

 

그리고 다음으로는 실제로 카카오톡 이모티콘 스튜디오에 등록하는 과정도 설명드리겠습니다.

움직이는 이모티콘의 경우에는 24개를 등록시키게 되어있고요, 멈춰있는 이모티콘은 32개를 등록하게 되어있습니다.

애초에 기획을 하실 때 32개까지 생각을 하고 기획을 하셔야 합니다.

 

제출용은 가로 360, 세로 360 픽셀인데, 가로 3600, 세로 3600 픽셀로 만들어놓고 줄이면

표면이 자글자글해지는 걸 막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폰트가 중요한데, 폰트는 무료 폰트이자 저작권에 문제가 없는 것이어야 합니다.

상업화를 할 것이기 때문에 상업화를 해도 문제없는 폰트로 찾아야 합니다.

네이버 나눔 글꼴 등에서 괜찮게 나오는 폰트를 찾으셔도 됩니다.

 

이모티콘을 만들다가 이 이모티콘이 실제 카톡방에서 어떻게 보여질 지를 모르기 때문에

카카오톡 이모티콘 뷰어 사이트에서 만들어 놓은 이모티콘을 올려서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유의하셔야 할 점이 PNG 파일로 해야 하는데 배경을 날려주셔야 합니다.

 

32개의 이모티콘을 만들었으면 카카오톡 이모티콘 스튜디오 사이트에서 제안하기를 눌러

만든 이모티콘을 모두 업로드하고 제안 신청을 눌러주시면 이모티콘 제출이 완료됩니다.

 

심사는 한 달정도 걸린다고 하는데, 한달 내에 반려가 되거나 승인이 되면

실제로 이모티콘을 상품으로 출시하기 전에 또 상품화 과정이 한번 있다고 합니다.

카카오톡 측에서 이런 것들을 수정해라 피드백을 주고, 그 피드백 사항을 반영해서 최종 상품으로 만들어진다고 합니다.

생각보다 그렇게 어렵지는 않죠. 그렇지만 이 심사에서 승인되기가 상당히 까다롭다고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