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 자유

POD사업(ETSY, 레드버블) 하기 전에 생각해보아야 할 것 3가지 (by 투잡남)

라고할때살걸 2022. 7. 5. 00:03
반응형

여러분, 물류 배송 없이 디자인을 만들어서 물건을 팔아보고 싶지 않으신가요?

오늘은 여러분에게 레드버블, ETSY(엣시)에서 돈을 벌려면 반드시 알아야 하는 세 가지를 알려드리겠습니다.

 

POD 사업은 Print On Demand라고 해서 여러분이 디자인만 하면 티셔츠, 핸드폰 케이스, 에어팟 케이스 등에

디자인만 입혀서 나머지는 업체에서 배송하는 시스템입니다.

디자인만 하면 되기 때문에 고객 불만과 물품 배송에 신경 쓸 필요가 없습니다. 그냥 여러분은 디자인만 하면 됩니다.

해외에서는 레드버블, ETSY(엣시), 티 스프링 등이 있고, 국내에서는 마플 샵이 좀 유명합니다.

 

말로만 들으면 아주 쉽게 돈을 벌 수 있을 것 같이 보입니다.

그런데 과연 그럴까요. 제가 드리고 싶은 말씀이 이겁니다. 누구나 다 쉽게 시작은 합니다.

그런데 세 가지가 없다면 여러분은 돈을 벌 수 없게 됩니다.

 

 

1. 절대 빠르게 돈을 벌 수 없다.

 

 

한 다섯 개 정도만 되면 누군가 사가겠지라고 생각하면 절대로 POD 사업으로 돈을 벌 수가 없습니다.

못해도 여러분이 100개, 그리고 200개 정도는 여러분의 디자인을 만들어서 올려야 돈을 그나마 벌 수 있게 됩니다.

이 개념이 국내에서는 아직 생소해서 POD 산업에 대한 전문가가 그렇게까지 많지는 않은 상황입니다.

 

그런데 해외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몇 년 전부터 판매를 하는 판매자들이 많았고, 강의하는 유튜브도 꽤 많았습니다.

그래서 유튜브를 찾아봤고, The Money Game이라고 하는 유튜버와 몇몇 판매자들의 이야기를 자세히 들어봤죠.

그들이 말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습니다. 적게는 3개월부터 길게는 8개월까지 지나고 나서야 돈을 벌 수 있었다고 합니다.

 

그들은 한 두 개 만들어놓고 8개월을 버텼을까요. 아니죠.

그들은 매일같이 최소한 하루에 한 개 이상의 디자인을 업로드했고, 그 디자인들이 쌓여서 돈을 벌기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왜 하필이면 3개월에서 8개월이었을까요?

이틀에 한 개 정도를 생각해보면 3개월이면 대략 50개 정도를 만들 수 있을 겁니다. 6개월이면 100개를 만들겠죠.

8개월이면 못해도 120개 정도는 만들 수 있을 겁니다.

 

즉, 120개 정도가 쌓여야 구매자들이 검색했을 때 하나라도 걸릴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물론 여기에는 연관 키워드 검색을 해서 여러분이 치고 들어갈만한

조회수가 있는 그런 세밀한 키워드 검색을 통해서 디자인해야 합니다.

 

물론 빠르게 돈을 벌면 좋겠지만 누적되는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여러분 생각보다 오래 걸린다는 것을 인지해야 합니다.

이것은 여러분이 SNS를 운영하는 것도 마찬가지이고, 다른 투자도 똑같이 적용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2주, 3주 안에 혹은 한 달 안에 돈을 벌 수 있다?

이런 방법은 일자리를 구하거나 단기 알바를 구하는 게 가장 빠릅니다.

그렇지 않은 이상 어렵다고 볼 수 있어요. 즉, 일정 시간이 투자되어야 한다는 겁니다.

 

그런데 많이들 호기롭게 도전했다가 낭패를 봅니다. 그래서 하지 말라는 이야기는 아니고요. 

POD 투자를 하기로 마음먹으셨다면 일단은 최소한 3개월에서 8개월 동안 만드는 연습을 거치시라는 겁니다.

 

 

2. SNS 운영 능력을 길러라.

 

 

인스타그램, 틱톡, 핀터레스트 같은 SNS 운영 능력을 길러야 합니다.

레드버블이나 ETSY의 POD 관련 사업을 하겠다고 마음을 먹고 처음으로 디자인 파일을 올렸습니다.

팔릴 줄 알았는데 안 팔립니다. 그냥 레드버블이나 ETSY에 올리면 될 줄 알았는데 그게 끝이 아니었던 거죠.

그 이유는 SNS까지 연동해서 활용하는 능력이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디자인을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인스타그램에서 사람들이 왜 클릭을 하는지,

좋아요는 왜 누르는지, 어떤 것들을 사람들이 좋아하는지를 고민하고 운영해봐야 합니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물건이 팔릴 리가 없고, SNS가 효과적이지 않을 겁니다.

 

핀터레스트 같은 경우에도 리스트업을 먼저 합니다. 그래서 그걸 사람들이 한눈에 보기에 편하게 만들어야 됩니다.

주로 미국 사람들이 핀터레스트를 보고선 구매 결정을 한다고 하니 그 핀터레스트가 어떻게 보면

여러분의 입장에서 숍을 보여줄 수 있는 대표적인 마네킹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즉, 어떻게 꾸미는가에 따라서 여러분의 판매 매출이 달라질 수 있다는 거죠.

그런데 사람들은 그 부분에 대해서 생각하지 않고 무작정 디자인부터하고 업로드를 하는 경우가 굉장히 많습니다.

 

그렇게 때문에 물건을 판매하고 싶다면, 여러분의 디자인을 꼭 팔아보고 싶다고 한다면 어떻게 해서든지

SNS 채널 하나 정도는 운영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셔야 됩니다.

그래서 단순히 유튜브나 블로그를 보고 POD 사업이 괜찮다더라 그것만 믿고 달려든다면 어려운 길을 걷게 될 겁니다.

 

물론 100% 준비해서 되는 사업은 없습니다. 대부분 60~70% 정도를 채우고 달려들 때

나머지 40%를 하면서 채우면 딱 맞더라고요. 그렇게 하시는 게 아무래도 여러분이 실패할 가능성을 줄일 수가 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여러분이 포기하게 되고, 오래갈 수 없습니다.

 

그래서 여러분의 SNS 채널을 운영하는 능력을 기르고 롱런하는 방법을 배워야 되는 겁니다.

그렇게 해야 여러분이 이 POD 사업 말고도 다른 분야로도 진출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3. POD를 사업처럼 대해라.

 

 

레드버블과 디지털 파일 판매를 가벼운 부업 정도로 취급하게 되면 금방 어려움에 봉착하게 됩니다.

이건 앞서 말씀드린 부분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100개도 못 만들고 포기를 하고, 대부분 운영을 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왜냐하면 사업이 아니고 바로바로 돈을 벌 수 있는 부업 정도로 취급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성공을 못하는 거죠. 스타트업을 시작하면 생기는 구간 하나가 있는데, Death Valley라고 해서

내가 수익을 벌어들이는 데까지 버틸 수 있는 기간이 얼마이냐에 따라서

이 구간을 넘어서야 손익 분기점까지 달려갈 수 있다는 것을 말합니다.

 

이 손익분기점을 넘어서야지 사업이 커지는 거죠.

그런데 문제점은, 이 Death Valley라고 부르는 구간에서 많이들 포기합니다.

그렇다면 여러분이 이걸 사업이라고 생각한다면 여러분은 어떻게든 꾸미려고 할 거고요,

디자인 제품을 1개가 아니라 100개를 만들어보려고 노력을 할 겁니다.

 

그렇다고 해서 물론 여러분, 24시간 POD 사업을 오래 하라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다만 하루의 일정 시간을 떼어놓고 진지하게 다루는 태도를 꼭 지니시라는 겁니다.

가볍게 부업 정도로 여기시게 되면 언제든지 포기하게 되고요, 운영을 안 하게 됩니다.

 

반면에 내가 내 옷을 판다는 생각으로 조금 진지하게 생각을 한다면 정해진 시간에 디자인을 업로드하고

인스타그램에 홍보를 하려고 노력하겠죠.

 

결론적으로 POD 사업을 하겠다고 마음먹으셨으면, 마음가짐을 조금 다르게 가져야 한다는 것을 말하고 싶은 겁니다.

누가 레드버블해서 이만큼 벌었다, ETSY에서 이만큼 벌었다. 이런 카더라만 믿고 도전하시게 되면 낭패를 봅니다.

적어도 내가 다른 일은 모르겠고 이 디자인 제작은 그래도 3개월 동안 100개를 만들어보겠다.

이런 집념으로 달려들어야 됩니다.

 

그리고 내가 아직 SNS 운영에 대해서 잘 모르면, SNS 운영 방법부터 배우는 게 오히려 여러분에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어떤 SNS 채널이 되었든 간에 팔로워 1천 명만 모으면 여러분이 어느 정도 성공하는 방법을 배우게 되기 때문에

하나라도 일단 잘 파보시길 바랍니다.

그렇게 해야지 POD 사업과 같이 연동했을 때 시너지 효과가 생기고, 판매가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