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포스팅은 아래의 포스팅과 이어지니, 이전 포스팅을 보지 못하셨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트렌드 코리아 2024 키워드 대한민국 소비트렌드 요약 리뷰 - 육각형 인간, 버라이어티 가격 전략
이 포스팅은 아래의 포스팅과 이어집니다. 혹시라도 이전 포스팅을 못보셨다면 아래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트렌드 코리아 2024 키워드 대한민국 소비트렌드 요약 리뷰 - 분초사회, 호모 프롬프트
economical-free.tistory.com
도파밍
요즘 '도파민 돈다'라는 말을 참 많이하는데요,
엄청 자극적인 콘텐츠나 짧은 숏폼 콘텐츠를 보고 재미있을 때 '와, 도파민 돈다'라고 하는 겁니다.
여기서 도파밍은 도파민과 파밍을 결합한 말인데요,
재미를 추구하는 행동들을 쭉쭉 모으려는 소비자들이 많아지고 있어서 도파밍을 키워드로 선정했습니다.
그런데 재미를 추구하는 행동은 어제 오늘일이 아니고, 인간은 본능적으로 재미를 추구하는 동물입니다.
그런데 왜 트렌드 키워드 2024에 도파밍이 나왔을까요?
핵심은 쇼핑 콘텐츠에 있습니다.
이제 일상의 가장 중요한 영역의 콘텐츠가 쇼츠, 릴스같은 숏폼입니다.
유튜브에서 2020년에 쇼츠를 개발하고, 2023년 1월 기준으로 쇼츠가 유튜브 전체 시청 시간의 80%를 차지합니다.
이런 콘텐츠가 사랑을 받다보니 3초 안에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으려는 노력들이 많아지겠죠.
사람들은 랜덤한 것에 관심을 많이 가집니다.
미국 스타벅스에 가서 아이스 아메리카노 주세요가 아니라 직원이 추천하는걸로 주세요하는겁니다.
내가 좋아하는 음료가 아니라도 그 과정이 즐거웠으니까 괜찮다는 식의 재미를 찾는 소비자들이 그 예시이죠.
그리고 약간 과하게 하는걸 좋아합니다.
굳이 조개구이 먹고 싶다고 오이도까지 가서 먹는다던지,
즉석떡볶이 먹으려고 신당동까지 가서 먹는 식의 콘텐츠들이 각광받고 있습니다.
또 다른 사례는 미국에서 더 유행하는건데, 요즘 Z세대들 사이에서 드레스 코드를 맞추는게 인기가 있습니다.
블랙에 화이트나 크리스마스에 빨간색 이런걸 넘어서, 사람마다 파란색, 초록색, 핑크색 정하고
옷뿐만 아니라 음식같은것도 그 색으로 정해서 준비하는겁니다.
이런식의 재미를 추구하는 Z세대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핵심은 재미가 영타겟에서 가장 중요해졌고, 산업에서 재미를 관찰하는 것이 파워풀한 도구가 되고 있다라는 겁니다.
요즘남편 없던아빠
원래 소비시장에서 젊은 남성들은 빅 마우스가 아니기 때문에 잘 보지 않습니다.
짜장면 시켰는데 짬뽕이 나와도 그냥 먹고 나가는 분들이 젊은 남성분들이거든요.
그런데 시장 데이터로 봤을 때 30대 남성에게 엄청난 변화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첫번째로, 결혼 전에 외모를 열심히 관리합니다. 실제로 남성뷰티 시장이 쑥쑥 성장하고 있습니다.
남자는 여자를 볼 때 늘 외모가 1순위였고, 여자는 남자를 볼 때 지금까지 1위가 경제력이었습니다.
그런데 이 경제력이 외모로 바뀌었습니다. 그러면서 '돈은 저도 벌어요'라고 이야기한다고 합니다.
요즘 30대는 50% 이상이 맞벌이 가구이고, 이게 너무나도 당연해져서 둘 다 외모가 중요해진겁니다.
두번째, 요즘 결혼관이 바뀌었습니다.
결혼이 선택이 되면서 누군가의 희생을 격려하는 것들을 금기시하고 있습니다.
사실 이건 2010년대에도 나온 이야기이긴 하지만, 태도와 행동은 다릅니다.
남자가 여자를 도와주는 태도는 예전부터 있었지만 진짜 살림을 하느냐는 요즘 나타난 변화입니다.
원래 가전 가구는 여성이 구매 의사 결정자였는데, 이제는 가전 가구를 사는 남성들이 눈에 띄게 늘었습니다.
TV는 옛날부터 남성들이 많이 샀지만, 요즘은 청소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그렇게 산다고 합니다.
그리고 주말 아침 소아과, 문화센터, 놀이터에는 늘 아빠들이 있습니다.
예전에 LG전자 디오스 냉장고 광고는 '여자라서 행복해요'라는 키워드가 나왔었습니다.
2023년도에도 똑같은 디오스 냉장고 광고에는 남편이 주인공으로 나와서
기분이 쳐저있는 아내의 기분을 업시키기 위해 냉장고 디스플레이 색을 바꾸면 아내의 기분이 좋아지면서 끝납니다.
이런식으로 시장이 남성들의 변화를 읽고 광고로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미국이나 일본에서도 이런 현상이 많이 나타나고 있는데요,
미국에서 '아빠용 기저귀가방'이 최근 아주 핫했다고 합니다.
기저귀가방은 왠지 프릴도 달려있고 여성스러운 느낌이었는데, 아빠용으로 심플하게 만들었더니 대박이 난겁니다.
스핀오프 프로젝트
스핀오프란 내가 가지고 있는 역량을 다양하게 활용해서 역량을 분사하는 겁니다.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가 대박이 났으면 그 10년 전 이야기로 영화를 하나 내보내고,
20년 후에는 어떤지 영화를 내보내면서 원소스 멀티유즈로 뽕을 뽑는겁니다.
과거에는 이런 콘텐츠 스핀오프가 각광을 받았다면 요즘은 기업에서 스핀오프를 많이 사용합니다.
MBC나 SBS 지상파쪽 유튜브를 보면 각각 14F, 스브스뉴스처럼 젊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타겟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요즘 기업들은 사명을 변경하고 있습니다.
삼양식품은 삼양라운드스퀘어로, 롯데제과는 롯데웰푸드, 당근마켓이 당근, 마켓컬리가 컬리로 바뀌었죠.
조금 더 타겟을 확장하고 업을 넓히고 분사를 시키려는 경향성이 강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요즘 개인들도 스핀오프를 많이합니다.
기업만 다니지 않고 조용히 부업을 하는 등 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시킵니다.
실제로 프리랜서 플랫폼 이용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데,
이런 것들을 보면 사이드 프로젝트를 열심히하는 젊은 직장인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 포스팅과 이어지니,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
트렌드 코리아 2024 키워드 대한민국 소비트렌드 요약 리뷰 - 디토 소비, 리퀴드 폴리탄, 돌봄 경
해당 포스팅은 아래의 포스팅과 이어지니, 이전 포스팅을 못보셨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트렌드 코리아 2024 키워드 대한민국 소비트렌드 요약 리뷰 - 도파밍, 요즘아빠 없던아빠, 스핀
economical-free.tistory.com
'서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평] 송사무장의 부동산 경매의 기술 - 주거용 물건 (1) | 2024.02.08 |
---|---|
트렌드 코리아 2024 키워드 대한민국 소비트렌드 요약 리뷰 - 디토 소비, 리퀴드 폴리탄, 돌봄 경제 (1) | 2023.12.16 |
트렌드 코리아 2024 키워드 대한민국 소비트렌드 요약 리뷰 - 육각형 인간, 버라이어티 가격 전략 (1) | 2023.12.12 |
트렌드 코리아 2024 키워드 대한민국 소비트렌드 요약 리뷰 - 분초사회, 호모 프롬프트 (2) | 2023.12.08 |
[서평] 인스타 브레인(안드레스 한센) - 인스타그램과 사고방식의 관계 (0) | 2023.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