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전세자금대출 필요 서류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여러분들이 전세 대출을 신청하게 되면 서류를 제출해줘야 심사를 해서 대출금을 지급할 수 있습니다.
전세자금대출금은 여러분들에게 가는 경우가 거의 없고 임대인 계좌에 바로 들어가는 경우가 많죠.
그러나 문자로 대출금이 얼마 실행됐는지 오기 때문에,
대출이 실행됐는지에 대한 걱정은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전세 계약서를 쓰고 대출 신청을 하게 되면 은행에서 어떤 서류가 필요하다고 안내를 해줄 텐데,
그 서류를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①신분증, ②전세계약서 원본, ③(안심전세)중개물 설명서 및 공제 증서, ④계약금 영수증(5% 이상), ⑤임대차 계약 신고필증, ⑥주민등록초본·등본, ⑦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⑧소득자료 ⑨가족관계증명서
1. 신분증
주민등록증이나 자동차 운전면허증으로 대체가 가능합니다.
'간혹 여권은 안 되나요'라고 얘기를 하는데, 은행마다 조금 다르기는 하지만
주민등록증, 자동차 운전면허증 두 가지가 가장 정확한 신분증에 해당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신분증은 사본으로 준비해와도 되지만, 원본도 가지고 와야 본인임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전세대출 같은 경우는 본인과 배우자 두 분의 주택수를 조회하게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본인과 배우자 같이 은행에 방문하는 게 좋지만 만약 배우자가 바빠서 못 올 경우에는
은행에서 URL을 보내서 주택 수 조회 동의서를 누르게 되어 있기 때문에
해달라고 하는 서류는 그대로 진행을 해주시는 게 보다 빠르게 승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전세계약서
전세 대출에서는 가장 중요한 게 전세계약서와 소득자료인데,
이 전세계약서는 여러분들이 입주할 주소 등 모든 내용이 다 적혀 있습니다.
하나 팁을 드리자면, 전세계약을 하실 때 '전세 대출이 나오지 않으면 계약은 무효로 한다'
이렇게 써주시면 임차인 입장에서는 굉장히 안심이 되겠죠.
그렇게 써주시는 임대인은 좋은 분이거나 대출이 안 나올 확률이 높은 집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사전에 여러분들이 대출이 나올지 안 나올지 아래 두 가지를 검토해보는 게 좋습니다.
1. 이 집에 하자가 없는지 확인.
2. 여러분들의 소득이나 신용 점수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
3. 중개물 설명서 및 공제 증서
전세계약서에는 중개물 설명서가 따라붙고, 그다음에 공제 증서가 필수로 따라붙습니다.
전세계약을 할 때 공인중개사님이 세 서류를 다 넣어주기 때문에 통째로 들고 오면 그 안에 다 들어 있습니다.
전세대출에서 안심 전세 허가 상품을 이용할 때는 이 서류 세 개가 다 들어가야 합니다.
또, 안심 전세와 서울보증 전세를 신청하게 되면 전세계약서 원본을 은행에서 가져갑니다.
그러면 이제 깜짝 놀라는 거죠. '저는 전세계약서가 없는데 어떻게 하나요' 이렇게 물어보시는데 주셔야 합니다.
그래야지만 전세 대출을 할 수 있고, 전세계약서 사본으로도 전입신고가 가능하니까
여러분들께서 미리 복사를 해놓는 게 제일 좋습니다.
공제 증서는 공인중개사님께서 보험에 가입을 한 증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혹시라도 중개를 하면서 사고가 발생했을 때 비용적인 부분에서 처리를 할 수 있도록
보험에 가입한 증서이기 때문에 이 증서가 여러분들의 계약에 따라붙는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4. 계약금 영수증
그다음에 계약금 영수증이 필요한데, 5% 이상 낸 계약금 영수증이 필요합니다.
간혹 입금증을 달라고 하는 경우도 있는데,
심사를 하는 보증 기관에서 요구할 때도 있기 때문에 정상적인 거래인지 아닌지를 확인하기 위해서입니다.
또한 입금증은 날짜 변경이 안되기 때문에 정책이 바뀌게 되면
규제 전에 계약을 한 것이라는 증빙을 하기 위해서 입금증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정상적인 거래는 온라인으로 입금하는 게 좋습니다.
5. 임대차 계약신고 필증
임대차 계약 신고 필증이 서류로 포함이 되는데,
혹시 발급이 어렵다면 전세계약서에 확정일자를 찍어 오면 됩니다.
'확정일자를 미리 받아도 되나요?'라고 물어보시는데 미리 받으셔도 됩니다.
전입신고는 우리가 입주하는 당일날 전입신고를 하지만 확정일자는 미리 받아도 상관없다는 거죠.
이 확정일자는 전입신고와 세트여서 전입신고한 이후에 효력을 발생시키는 게 확정일자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왜 확정일자를 미리 찍어서 오냐면 전세계약서 원본을 은행에서 가져가면 확정일자를 찍을 수가 없어서 미리 찍는 건데,
이젠 임대차 계약 신고 필증으로 대체하기 때문에, 여러분들께서는 이 서류로 진행하셔도 됩니다.
6. 주민등록초본·주민등록등본
주민등록등본, 초본은 서울보증 같은 경우는 필요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래도 은행마다 필요한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은행에서 써주는 서류에 있는지 없는지 확인하고 발급하시면 좋습니다.
주민등록등본은 부부의 주택 수를 확인하기 위해서 필요한 거고,
주민등록초본은 안심 전세 같은 경우에 필요로 하는데,
그 집에 거주를 한 적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필요합니다.
그래서 태어나서 지금까지의 이력을 모두 가져와라고 하는 경우가 많더라고요.
안심 전세 같은 경우는 한 달 안에 세 번 정도 등 너무 많은 이사를 했다고 하면(전입신고를 했다면)
진행이 안 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너무 잦은 전입신고는 좋지 않습니다.
7.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는 재직증명서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과거 이력이 다 나올 필요 없이, 현재 자격만 나오면 된다고 생각하시면 되는데,
어디에 재직하고 있는지, 직장 피부양자인지 지역세대원인지, 세대주인지 이런 조건을 살펴보기 위해서
이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가 필요한 서류라고 보시면 됩니다.
발급하는 방법은 건강보험관리공단에 전화(1577-1000)를 해서 팩스로 받으셔도 되고,
아니면 인터넷으로 건강보험관리공단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공인인증서로 다운로드하셔도 됩니다.
교사분들 같은 경우에는 6개월이나 1년에 한 번씩 학교를 옮기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는 학교를 옮긴 거지 회사를 바꾼 게 아니기 때문에
공무원증을 제출한다던지, 재직증명서를 제출해서 인지시켜준다고 하면
여러분들의 재직기간이 인정되기 때문에 참고하시면 됩니다.
8. 소득자료
소득금액은 소득금액 증명원이나 원천징수영수증을 발급받으시면 되는데,
내가 만약에 회사를 옮겼으면 기존 거는 못쓴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원천징수영수증을 홈택스에서 내려받는 분들도 있는데,
홈택스에서 원천징수영수증을 받으면 주민등록번호가 나오지 않아서 쓸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회사의 직인이 찍힌 원천징수영수증을 제출해주시거나 소득금액증명원으로 제출해주셔야 하는데
반드시 지금 다니는 회사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만약 회사를 옮겨서 다닌 지 한두 달밖에 안되어서, 발급이 불가능하신 분들은
갑종근로소득세에 대한 소득세납세필증명서를 회사에 요청해서 발급받으시면 됩니다.
9. 가족관계증명서
그다음에 가족관계증명서를 제출하면 되는데,
만약 부부가 하나의 등본에 같이 있으면 요구를 안 할 수도 있습니다.
내가 미혼이라면 배우자가 있는지 없는지 은행에서 알 수 없기 때문에
이럴 경우에 가족관계증명서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간혹 '형제인데 전세대출이 될까요'라고 물어보시는 경우도 있는데
은행에서는 형제간에 전세대출이 안 되는 은행도 있고, 가능한 은행도 있습니다.
대신 심사를 좀 더 까다롭게 하겠죠. 정말로 그 집에 돈을 지급을 했는지 이런 걸 확인하겠죠.
형제는 이렇지만 부모 자식 간에는 전세 대출이 진행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대항력이 유지가 되지 않거든요.
발급하는 모든 서류들은 주민등록번호가 모두 나오게 출력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유효기간을 살펴보고 최근 서류로 준비를 해주셔야 합니다.
이렇게 전세대출이 무사히 진행이 되면 제일 중요한 게 뭘까요?
이삿짐 푸는 게 아니라 그날 전입신고를 꼭 하셔야 합니다.
우리의 전세보증금을 지키는 방법은 전입신고입니다. 그래서 꼭 전입신고를 해주셔야 하고
전입신고하러 가는 김에 여러분들이 전입한 등본도 하나 발급하고
전입세대열람원도 발급해서 은행에다 제출을 해주셔야 합니다.
전입을 한 등본이 은행의 사후관리에 필요하기 때문에
주민센터 갔을 때 이 서류를 발급해주시면 여러분들이 두 번 안 가도 되겠죠.
이렇게 전세자금대출 준비 서류를 일목요연하게 정리를 했으니,
대출받으실 때 활용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주택담보대출 서류의 모든 것 등기권리증 인감증명서 주민등록등본 주민등록초본 건강보험자격
부동산을 취득하면서 준비를 해야 하는데 잘 모르겠고 어디서 발급해야 하는지 모르겠는 게 바로 대출 관련 서류이죠. 내가 대출을 신청할 때는 필요서류라는 게 있어서 '그냥 대출해주세요'하
economical-free.tistory.com
주택담보대출 서류에 대해서도 알아보고 싶으신 분들은 위 포스팅을 참고하세요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장 다니면서 주택임대사업자 부동산 법인 운영 해도 될까 (2) | 2022.08.30 |
---|---|
주택담보대출 총정리 보금자리론 디딤돌대출 서민실수요자대출 적격대출 (0) | 2022.08.26 |
주택담보대출 서류의 모든 것 등기권리증 인감증명서 주민등록등본 주민등록초본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원천징수영수증 가족관계증명서 (by 레오) (0) | 2022.08.11 |
경매로 수익낼 수 있는 방법, 진짜 부자가 알려주는 진짜 부자되는 이야기(2) (by 행크tv) (0) | 2022.07.08 |
경매로 수익낼 수 있는 방법 진짜 부자가 알려주는 진짜 부자되는 이야기(1) (by 행크tv) (0) | 2022.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