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 자유

회사 탈출은 지능순, 결국 부자가 되는 방법 2가지(by 안단테)

라고할때살걸 2022. 6. 22. 00:03
반응형

누구보다 열심히 일하는 것 같은데 내 삶은 나아지지 않아 암울하기만 하고 왠지 승자는 따로 있는 것 같죠.

퇴근하고 투잡이라도 해보려 하는데 큰 돈은 안될 것 같고 일단 이번 달 카드빚부터 갚기 바쁘죠.

지금껏 살아오면서 아무도 여러분에게 말해주지 않은 오늘 내용을 놓치고 살아가신다면

여러분은 평생 이 비참한 고통의 굴레에서 벗어날 수 없을 것입니다.

 

우리는 종종 자본주의 사회에서 살고 있다는 말을하곤 합니다.

돈을 위해 뭐든 하는 사람을 보고 재미로 '자낳괴'라는 말을 쓰기도 하죠.

현재 우리가 일상에서 경험하는 물가, 월급, 부동산, 가격, 대출, 세금 등의

경제활동의 많은 부분이 자본주의 현상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이 자본주의란 대체 뭘까요.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란 말이 있듯 자본주의가 무엇인지 알아야 돈과 관련된 많은 걱정거리들을 해결할 수 있겠죠.

 

 

그렇다고 무슨 자본주의의 역사나 보이지 않는 손같은 따분한 이야기를 하려는 게 아닙니다.

오늘은 정말 우리에게 현실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얘기만 해보자구요.

물론 돈을 버는데 관심이 전혀 없거나 이미 엄청난 돈을 가지고 계신 분이라면 스킵하셔도 됩니다.

 

우선 자본주의는 역사적으로 계속해서 수정되고 변화해왔기 때문에

무 자르듯 이게 딱 무엇이다라고 정의 내릴 수 있는 개념은 아닙니다.

자본주의의 사전적 의미는 생산 수단을 자본으로서 소유한 자본가가

이윤 획득을 위하여 생산활동을 하도록 보장하는 사회 경제체제인데요,

쉽게 말해 우리가 지금 살아가는 이 사회에선

누구나 공정하게 경쟁해서 번 돈과 재산을 인정하고 자유롭게 쓰도록 보장해준다는 것이죠.

 

 

개미는 베짱이에게 노동을 제공한 대가로 임금을 받습니다.

다른 선택지가 없다면 애석하게도 개미는 죽을 때까지 자신의 체력과 시간을 바쳐 적당한 임금을 받으며 살아가야 합니다.

 

체력이 받쳐주면 다행이지 나이가 들어 늙고 힘이 없어진다면 이 적당한 임금마저도 받지 못하게 됩니다.

그런데 여기 생산수단을 소유하고 사업체를 운영하는 자본가 베짱이가 있습니다.

베짱이는 개미의 시간을 사서 상품이나 서비스를 만듭니다.

그리고 그 상품을 판매해서 개미의 월급과 투자금 등을 제외하고 남은 잉여 생산물을 가져갈 수 있습니다.

 

이렇게 자본주의에서 이윤을 추구하는 주체노동자와 자본가 두 가지로 구분됩니다.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을 많이 벌 수 있는 방법은 생산 수단을 소유한 베짱이, 즉 자본가가 되는 것입니다.

여기서 생산 수단이란 뭘까요. 생산수단은 기계 장치나 원자재같이 단지 눈에 보이는 유형자산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지식, 기술, 플랫폼, 특허권, 브랜드와 같은 무형 자산까지 포함하죠.

 

 

그래서 다행히도 우리는 이 생산 수단을 가지기 위해 꼭 10억씩 들여 땅을 매입하고 공장을 짓지 않아도 됩니다.

우리는 지식과 기술을 이용해서도 상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하고 판매해서 돈을 벌 수 있는데요,

월 몇 백씩 임대료를 내지 않아도 웹사이트를 만들어 24시간 불이 꺼지지 않는 가게를 오픈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알바를 고용해 전단지를 뿌리지 않아도 유튜브나 인스타그램을 통해 무료로 내 상품을 알릴 수 있죠.

그리고 우리는 지금 이런 돈을 벌어다 주는 생산 수단을 준비하기 가장 좋은 시대에 와있습니다.

 

물론 사업이 어렵고 복잡하게 느껴지신다면 다행히도 우리에겐 선택권이 하나 더 있습니다.

그건 바로 노동자로서 일을 해서 저축한 돈으로 이 생산수단에 간접적으로 투자하는 것입니다.

투자라고 해서 단순히 금리가 조금 더 높은 예적금을 들거나 주택 청약에 가입하는 걸 말하는 게 아닙니다.

 

 

예적금은 저축하는 습관을 들이고 시드머니를 모으는 수단 정도로 사용하는 것이지

이걸로 적금 풍차를 돌린다거나 해서 큰돈을 번 수는 없습니다.

 

주식 투자를 통해 기업의 지분 일부를 사들이면서,

내가 직접 아이템을 발굴하고 회사를 경영해야 한다는 부담을 가지지 않아도 됩니다.

그저 회사가 성장하면서 누리는 이익을 간접적으로 함께 누릴 수 있죠.

물론 우리가 기대하는 수준의 자본가가 되려면 시간이 오래 걸릴지도 모릅니다.

 

 

합리적인 소비 경제 및 투자에 대한 꾸준한 공부 등 하루하루 더 나은 선택들이 쌓이면서

결국은 이 시스템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그래서 우리가 자본주의를 이해하고 경제와 투자를 공부해야 하는 이유는 부자가 되기 위한 준비도 있겠지만

어떤 게 더 나은 선택인지 판별할 수 있는 혜안을 기르기 위해서이기도 하죠.

 

앞으로 이 자본주의를 살아가는 동안 사회는 불공평하다고 신세 한탄을 하며 방구석에서 아무것도 하지 않고 있을지,

돈의 가치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자본주의를 나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이끌어갈지,

여러분은 전자와 후자 둘 중 어떤 결정을 내리시겠습니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