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 자유

200만원 월급 노예 탈출 시켜준 책 3권 추천 (by N잡하는허대리)

라고할때살걸 2022. 6. 25. 00:04
반응형

돈을 담을 수 있는 내면의 그릇, 부자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마인드를 바꾸는데 도움이 되는 3권을 추천드리겠습니다.

 

 

1. 100만 장자 시크릿

 

 

이 책은 부를 끌어당기는 17가지 생각법에 대해서 다루고 있는 책입니다.

 

우리가 컴퓨터로 편지 한 장을 썼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인쇄하기를 누르면 프린터에서 편지가 빠져나오겠죠.

그런데 인쇄물을 보니까 오타가 있는 거예요. 그래서 잘 지워지는 지우개로 그 글자를 지웁니다.

그리고 그 후에 다시 인쇄하기를 눌렀는데 이번에도 똑같은 오타가 발생해요.

그래서 우리는 이게 어떻게 된 일인지, 방금 분명히 지웠는데?

이번에는 더 커다란 지우개로 더 열심히 오랫동안 빡빡 지웁니다. 효과적인 지우개 사용법 이런 책까지 읽으면서요.

그리고 인쇄하기를 다시 눌면 당연히 또 그대로 나오겠죠.

 

인쇄물, 그러니까 물리적인 외적인 세상에서는 문제를 수정할 수가 없습니다.

문제를 수정하려면 프로그램에 입력되어 있는 정보, 그러니까 내적인 세계 마인드를 바꿔야만 문제가 해결될 수 있죠.

 

돈도 건강도 인쇄물입니다. 외적인 세상인거죠. 외적인 세상을 바꾸기 위해서는 내적인 세상을 바꿔야 한다는 겁니다.

결과를 고치려면 원인을 먼저 고쳐야 하는 것처럼 말이죠.

저는 이 비유를 보고 한동안 머리를 얻어맞은 것처럼 멍하게 있었습니다.

 

이 책에서는 내적인 세상을 바꾸는 17가지 생각법이 담겨져 있습니다.

 

 

2. 부의 추월차선

 

 

만약 직장인이신데 현재의 삶에서 큰 희망을 찾기 어렵다. 막막하다 하시는 분들은 반드시 읽어보세요.

월급 노예의 삶을 깨버리기에는 현존하는 책 중에 가장 좋지 않나 이런 생각을 해봅니다.

 

이 책에서는 통제권을 갖고 있어야 큰 돈을 만들 수 있다고 얘기를 합니다.

통제한다는 게 뭐냐면 회사, 상품, 가격, 수익, 구조, 경영방식, 이런 사업에 있어서 모든 것을 내가 통제한다는 뜻입니다.

남한테 통제권을 주는 게 아니라요. 사업이라는 단어 때문에 내 얘기는 아니구나 이렇게 생각하지 마시고요.

 

직장에서의 나를 하나의 회사라고 생각해보세요.

여러분을 소유하고 있는 건 누구죠?

여러분의 행동, 여러분의 가격, 여러분의 일의 방식 이런 통제권은 여러분이 가지고 있나요?

이렇게 통제권을 남에게 쥐어주고 있다면 차를 직접 운전하는 게 아니라고 이야기를 합니다.

내가 원하는 방향대로 운전할 수 없고 예기치 못한 사고에 계속 노출이 될 수밖에 없는 거죠.

 

이 책을 읽고 나면 남의 돈나무를 키우는 게 아니라 나의 돈나무를 키우고 싶다는 생각이 간절하게 드실 겁니다.

 

 

3. 시작의 기술

 

 

이 책은 제목처럼 행동을 위한 책인데요, 핵심 내용을 하나 말씀드리자면

하고 싶은 마음이 들 때까지 기다리지 말라는 겁니다.

왜냐면 그런 때는 안오기 때문이죠.

 

이 책에서는 행동을 유발하는 7가지 생각법을 담고 있습니다.

그중에서 인상적인 문장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무언가를 이루려고 노력할 때마다 당신은 물살을 거슬러야 한다.
종종 주변 사람들의 의견이 당신의 목적지로부터 멀리 끌어내기도 한다.

그들은 당신이 할 수 없다고 말할 것이다.

당신이 실수를 하고 있다고, 그건 불가능하다고 실패할 거라고 말할 것이다.

당신이 추구하는 일이 독특하고 독창적일수록 반대도 더 거세질 것이다.

왜냐고? 왜냐하면 당신 인생의 사람들은 당신을 특정한 종류의 사람으로 생각하는데 익숙해졌기 때문이다.

그래서 당신이 그 틀을 깨려고 할 때마다 당신은 자신의 세상만 어지럽히고 있는 게 아니라

그들의 세상까지 어지럽히고 있다고 생각한다.'

 

 

저는 책을 통해서 저를 성장시켰고 책으로 인해서 인생 여러 가지 부분이 개선됐습니다.

여러분들도 이 책을 통해서 더 나은 삶을 향해 가시는 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당연히 책 읽는다고 인생 바뀌는 거 아닙니다. 책을 읽고 느끼셨다면 행동하셔야 합니다.

 

 

반응형